분류 전체보기 26

덴마크의 행복한 사회, 더이상 남 얘기로 만들지 말자

“요즘 당신의 걱정거리는 무엇입니까?” 우리나라에서 길가던 사람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면 아마 초등학생부터 70대 노인까지 다양한 답변이 나올 것이다. 당장 나만해도 전세금 걱정, 육아로 인한 아내의 복직 걱정, 다니는 직장에 대한 걱정 등 줄줄이 나온다. 그런데 걱정거리가 있냐는 질문에 한참을 고민하며 답변 못하는 국민이 있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오연호 대표가 만난 덴마크 사람들이 그렇다. 오연호 대표는 세 차례에 걸친 덴마크 취재에서 택시기사, 식당 종업원, 주부, 고등학생, 대학생, 교사, 교수, 공무원, 언론인, 목사, 의사, 변호사, 국회의원, 기업인 등 여러 부류의 사람을 만났다. 그들의 행복한 이유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만나는 사람마다 ‘요즘 걱정거리’와 ‘당신은 행복한지’를 물으며 다녔다..

서평 2025.04.04

GPT 지브리? 난 구글 AI스튜디오로 놀아~

GPT 지브리 스타일로 요즘 프사들 많이 바꾸시죠? 자 여기서 한 차원 더 나아가 볼까요?바로 구글의 AI 스튜디오 입니다. 갖고 있는 이미지의 배경을 바꾸거나, 혹은 배경에 있는 사람을 지우고 싶을때, 비어있는 관중석에 사람을 채워야 할때 등 수정하고 싶은 이미지가 한 가득일텐데요! 바로 손쉽게 텍스트로 수정 가능한 AI 스튜디오를 만나보시죠!  먼저 구글에 라고 검색해 보세요!   자 그러면 아래와 같이 사이트 화면이 나옵니다.영어로 되어 있고 뭐가 복잡해 보이죠? 하지만 의외로 간단해요 클릭 2~3번이면 끝입니다. 아래 오른쪽 중상단이 빨간블록에 표시한 부분만 세팅해볼까요?각각 모델 및 아웃풋 포멧 부문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세요.1. Model : Gemini 2.0 Flash (Image G..

이슈들 2025.04.03

행복은 목적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오는 것 <난쟁이피터>

행복은 목적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오는 것[서평] 의 저자 호아킴 데 포사다의  의 작가 호아킴 데 포사다의 최신작 가 출간됐다. 호아킴은 전작에 이어 이번 책에도 희망과 용기의 메시지를 전한다.주인공 피터는 5피트(152.5cm)의 작은 키를 가진 소년이다. 그 때문에 그는 늘 주변의 놀림감이 되고 심지어 친 아버지 마저 자신을 실패작으로 여긴다. 게다가 가난한 집안 형편 탓에 신체에 대해 제대로 된 검사 하나 받지 못한다. 피터는 주변의 부정적 메시지에 그대로 노출된 채 조금씩 삐뚤어지고 분노조절 장애까지 갖게 된다.그러나 피터의 엄마 신시아만은 오직 피터 편이다. 신시아는 피터의 분노와 절망이라는 마음 밭에 자그만 희망의 씨앗을 심는 헌신의 농사꾼이다. 또한 피터는 학교 도서관 사서 크리스틴 선생님을..

서평 2025.04.03

조선이 세워진 이유는 양극화 때문이다? <정도전과 그의 시대>

조선이 세워진 이유는 양극화 때문이다?[서평] 조선건국을 통해 배우는 경제 민주화 숱한 화제를 불러오며 인기몰이를 했던 드라마 이 얼마 전 종영했다. 우리는 킹 메이커로서의 정도전이 아닌 민본을 실현하려 했던 이상주의 정치가 정도전을 새롭게 만나볼 수 있었다. 고려 말 부패했던 시대상황 속에 새로운 이상국가 조선을 꿈꿨던 그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는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도 여러 가지 교훈을 준다. 많은 국민이 이 드라마에 열광했던 것도 어쩌면 당시 고려 말의 상황과 우리가 사는 현 시대가 겹쳐 보여서인지 모른다.당시 고려사회는 권문세족이 대부분의 농장을 독차지 하여 지역 자영농이 모두 몰락한 상황이었다."당시 권귀와 환관들이 모두 사전을 받아 많은 경우 2000~3000결에 이르렀는데, 각기 좋은 땅을 차..

서평 2025.04.03

<서평> 그가 그립다

내가 노무현의 이름을 처음 알게 된 것은 고등학교 3학년 때였다. 당시 '노풍'이 거세게 불며 전 국민의 관심이 모인 때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가끔 수업시간에 시사이슈 이야기하기를 좋아하시던 영어선생님의 입에서 처음으로 '노풍'이라는 단어를 들었다.정치에 관심도 없고 공부 때문에 정신적인 여유가 없던 고3인 나에게도 그 바람소리는 꽤나 인상 깊게 다가왔다. 그런데 대통령이 된 이후의 그는 좀 특이해 보였다. 제 성질에 못 이겨 연설 중 화를 내는 감정적인 사람인 것 같기도 했고 너무 솔직한 표현이 가끔 막말하는 모습처럼 비춰져 위태로워 보이기도 했다.당시 나에게 노무현은 우리나라 대통령이라는 것 말고는 별다른 관심이 가지 않는 사람이었다. 그를 유명하게 했던 5공 청문회나 3당 합당에서의 용기 있는 모습..

서평 2025.04.02

경제위기의 진짜 원인은 이것이다 <위기는 왜 반복되는가>

MB 정권 당시 시장 친화적인 정책이라는 포장 속에 대기업 친화적 정책이 쏟아질 무렵이었다. 여론에 비난이 일자 그들은 소위 '낙수효과(trickle down effect)'를 언급하며 자신들이 추진하는 정책의 타당성을 옹호했다.낙수 효과란 넘쳐흐르는 물이 바닥을 적시는 것처럼 대기업의 발전과 성장이 중소기업의 성장을 이루고 결국 나라 전체에 그 성장의 혜택이 고루 퍼진다는 용어이다. 그런데 실상을 보면 그 혜택은 돈이 있는 자들에게만 머무르고 있는 것 같다.비단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전 세계가 빈부격차로 인한 갈등에 힘들어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세계 석학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돌파구가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이러한 궁금증에 대한 실마리를 미국의 전 노동부 장관인 로버트 라이시는 자신의 저..

서평 2025.04.02